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

추적오차율 뜻,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군더더기 없이 바로 본론 들어갑니다.  추적오차율의 개념과 기원  추적오차율은 주로 상장지수펀드, 즉 ETF의 성과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ETF는 주식 시장에 상장된 펀드로, 특정 지수를 추종합니다. 이 지수는 벤치마크 지수라고 하며, 시장의 평균 성과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있다면, 이 펀드의 수익률이 S&P 500 지수의 수익률과 얼마나 비슷한지를 확인하는 데 추적오차율이 중요합니다.이 개념은 1990년대 중반 ETF가 대중화되면서 등장했습니다. 당시 첫 번째 ETF인 SPDR S&P 500은 1993년 State Street Global Advisors에서 출시되었으며, 투자자들이 펀드 성과를 정확히 평가할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ETF 시.. 2025. 4. 1.
MDD 뜻, 다른 건 몰라도 이것만큼은 꼭 읽어보세요 MDD 뜻 MDD(Maximum Drawdown)는 특정 기간 동안 투자 자산의 가치가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하락한 최대 손실률을 의미합니다. 투자 위험을 평가할 때 매우 중요한 지표이죠. 투자자는 이 지표를 통해 과거 투자 전략의 위험도를 가늠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손실을 추정합니다.MDD가 중요한 이유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손실이 클수록 원금을 회복하기 위한 수익률이 더 높아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산이 10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하락하면, 이는 50%의 하락률입니다. 하지만 다시 원금인 100만 원으로 돌아가려면 100%의 수익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MDD가 큰 투자 전략은 원금 회복이 어렵고 위험 부담이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2025. 3. 24.
조정장의 의미?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될까? 주식 시장에서 '조정장(市場 調整, Market Correction)'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이는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으로, 시장의 자연스러운 흐름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현상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조정장의 뜻과 의미, 그 중요성, 그리고 과거 조정장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조정장이란 무엇인가?  조정장은 주식 시장이나 특정 자산의 가치가 최근 고점에서 10% 이상, 20% 미만으로 하락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nvestopedia에서는 "조정은 주식, 채권, 상품 또는 지수의 가격이 최소 10% 하락하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Forbes는 "조정은 시장 지수나 개별 자산 가치가 최근 고점에서 10%에서 20%까지 떨어지는 지.. 2025. 3. 20.
민감국가 리스트 등재, 다른 나라 영향 분석 1. 리스트의 의미 및 영향 미국 에너지부(DOE)가 관리하는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 SCL)은 국가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경제안보 위협, 테러 지원 등 정책적 이유로 특별 관리가 필요한 국가들을 지정한 명단입니다​.​이 명단은 DOE 산하 정보방첩국(OICI)과 국가핵안보국(NNSA) 등이 유지하며, 국가를 위험 수준에 따라 여러 범주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핵무기를 비공개 보유하거나 핵확산 우려가 있는 우방국(이스라엘, 인도, 파키스탄 등)은 “기타 지정국가”로, 중국·러시아 같은 잠재적 위협국은 “위험국가”, 북한, 이란, 시리아 등 테러 지원 및 핵개발 국가들은 “테러지원국” 범주로 구.. 2025. 3. 18.
CAGR뜻? 초보자라면 이것부터 읽으세요 연평균 성장률 뜻  연평균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은 투자 자산이 일정 기간 동안 매년 평균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5년 동안 어떤 자산에 투자해서 원금이 두 배가 되었다면, 그 자산의 5년간 CAGR은 “매년 약 몇 % 씩 불어난 셈인가”를 알려주는 수치입니다. CAGR은 복리 효과를 감안한 성장률로, 기간 동안의 변동성을 모두 고려해 평균을 낸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마다 수익률이 들쑥날쑥해도 CAGR을 계산하면 마치 매년 일정한 속도로 성장했다면 어느 정도였을까를 알 수 있어요. 흔히 누적 수익률이나 단순 산술 평균 수익률과 비교되는데, 연평균 수익률은 변동성을 감안한 기하평균 수익률이라 더 의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2025. 3. 17.
미국 증시 하락 이유 3가지 목차서론1. 트럼프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 관세2.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동결 결정3. 중국 주식시장 하락과 그 여파결론 서론 지난주(2025년 3월 6일~12일), 미국 대형주 500개 기업의 모음인 S&P 500이 3-4%가량 하락했다. 1달간으로 계산해 보면 -8.43%이다.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지, 3가지 주요 이슈를 정리해 보았다.     이번 칼럼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25%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 관세를 부과한 점,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를 4.25%에서 4.50%로 동결한 결정, 그리고 중국 주식시장이 새로운 최저치를 기록하며 약세를 보인 점을 구체적인 수치와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한국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시사점도 함께 살펴본다.  1. 트럼프의 철강 및.. 2025. 3. 13.